모르지 않다는 것은 아는것과 다르다.

Network

네트워크

채마스 2022. 2. 27. 01:11

IP(인터넷 프로토콜) 란?

  • IP 의 역할
    • 지정한 IP 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 전달
    • 패킷(Packet) 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  • IP 패킷 정보

  • 출발지, 목적지, 메시지등을 포함한 패킷을 인터넷에 전달하면 노드들끼리 패킷을 전달하며 목적지로 전달할 수 있는 노드까지 전달된다.





IP 프로토콜의 한계

  • 비연결성
    •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-> 패킷을 받을 상황이 아니어도 일단 보내는 문제

  • 비신뢰성
    • 중간에 패킷이 사라진다면?
    • 패킷이 순서대로 안오면?
  • 프로그램 구분
    •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면?





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

  • 위와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은 4계층으로 구성되어있다.

  • 위와 같이 계층을 통과할때마다 정보를 한겹한겹 씌워서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.
    • 위 과정에서 TCP/IP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



TCP 특징

  • 전송 제어 프로토콜

  • 연결지향 - TCP 3 way handshake (가상 연결) -> 먼저 연결을 한 후 전송한다.
  • 데이터 전달 보증 -> 메시지를 못받았으면 알려준다.
  • 순서보장
  •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
  • 현재는 대부분 TCP 사용 (개발할땐 거의다 TCP 통신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다.)





UDP 특징

  •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(User Datagram Protocol)
  • 기능이 거의 없음
  • 연결지향 - TCP 3 way handshake X
  • 데이터 전달 보증 X
  • 순서 보장 X
  • 데이터 전달 및 순서가 보장되지 않지만, 단순히 빠르다.
  • IP와 거의 같지만, Port와 체크섬이 추가되었을 뿐이다. (체크섬은 메시지가 제대로 왔는지 검증해주는 데이터)
  • 애플리케이션에서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.





Port

  • 하나의 IP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함.
  • IP는 목적지 서버를 찾는 것.
  • 패킥 정보에 출발지 IP, Port 와 도착지 IP, Port 를 알기 때문에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다.
  • IP를 아파트라고했을때, Port는 몇백몇호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
  • 0 ~ 65535 할당 가능
  • 0 ~ 1023: 잘 알려진 포트,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
    • FTP - 20, 21
    • TELNET - 23
    • HTTP - 80
    • HTTPS - 443





DNS

  • IP는 기억하기 어렵고, 변경될 수 있다. ->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NS가 있다.
  • 전화기록부와 비슷하다.
  • 도메인 명을 IP 주소로 변환





URI

  • Uniform Resource Identifier
  • Uniform :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
  • Resource : 자원,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
  • Identifier :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
  • URL(Uniform Resource Locator) :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
  • URN(Uniform Resource Name) :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
  • 위치는 변할 수 있지만, 이름은 변하지 않는다. -> 그렇기 때문에 그냥 URI를 URL과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.

  • URL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주소
  • URN은 위와 같이 이름을 부여한 것인데 거의 사용하진 않는다.





URL

  • scheme: //[userinfo@]host[:port][/path][?query][#fragment]
  • https://www.google.com:443/search?q=hello&hl=ko
    • 프로토콜(https) : 어떤 방식으로 자원에 접근할 것인가 하는 약속 규칙 (ex> http, https, ftp)
    • 호스트명(www.google.com) : 도메인명 또는 IP 주소를 직접 사용가능
    • 포트 번호(443) : 생략 가능하다. 일반적으로 생략, 생략시 http는 80, https는 443
    • 패스(/search) : 리소스 경로(path), 계층적 구조 (ex> /members/100)
    • 쿼리 파라미터(q=hello&hl=ko)
      • ? < 뒤에 붙는다.
      • key=value 형태
      • ?로 시작, &로 추가 가능 ?keyA=valueA&keyB=valueB
      • uery parameter, query string 등으로 불림, 웹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, 문자 형태





요청 흐름

  • 위와 같이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에서 패킷에 실어 같이 전달한다.
  • 패킷을 받으면 TCP/IP 패킷을 벗겨내고 그안에 HTTP메시지를 확인한다.




REFERENCES

  •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쿠키와 캐시  (0) 2022.02.27
URI 설계 원칙(RFC-3986)  (0) 2022.02.27
REST API란  (0) 2022.02.27
HTTP  (0) 2022.02.27